1.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 앱 ARChon Packager 를 설치한다.
2. 스마트폰에서 이앱을 실행시켜서 next누르면
- 선택옵션이 나오는데 설치된 앱을 누르면
- 앱리스트가 나오는데 거기서 전환하고자하는 앱을 선택
- 디바이스 종류는 pc에서 봐야하니 tablet mode가 좋겠고,
- 방향은 옆으로 돌려보는 형태니 Landscape로 선택
- 전환이 되면 인터넷 클라우드 구글드라이브나 드롭박스 등을 선택하고 완료를 누른다.
3. 우분투 노트북이나 PC에서 이것을 다운받아서 특정폴더에 압축을 풀어놓고
4. 크롬을 실행시켜 주소창에 chrome://extentions 확장프로그램으로 이동
- 압축해제된 확장프로그램 로드를 선택하고 저장해놓은 폴더를 로드시키면
- 확장프로그램 리스트에 나타나고,
- 여기서 실행시키면 해당 폴더 선택이 나타나면서 폴더를 지정하고
- 런처에 실행되는 것이 보인다. 이실행 아이콘을 런처에 고정시키면
차후에 크롬을 실행시키지 않고도 실행 가능
이렇게 해서 스마트폰 앱, 특히 음악 앱을 등을 잘 사용하고 있어요..
2016년 10월 21일 금요일
2016년 10월 17일 월요일
우분투 모니터 해상도 설정 변경 방법
$ xrandr 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와 옵션 비교 / 해당 해상도 조회
$ cvt 1024 768
# 1024x768 59.92 Hz (CVT 0.79M3) hsync: 47.82 kHz; pclk: 63.50 MHz
Modeline "1024x768_60.00" 63.50 1024 1072 1176 1328 768 771 775 798 -hsync +vsync
# 1024x768 59.92 Hz (CVT 0.79M3) hsync: 47.82 kHz; pclk: 63.50 MHz
Modeline "1024x768_60.00" 63.50 1024 1072 1176 1328 768 771 775 798 -hsync +vsync
여기서 모델라인 뒤에 있는 제원을 카피하여 아래와 같이 시행
$ xrandr --newmode "1024x768_60.00" 63.50 1024 1072 1176 1328 768 771 775 798 -hsync +vsync
$ xrandr --addmode VGA1 "1024x768_60.00"
$ xrandr --addmode VGA1 "1024x768_60.00"
$ xrandr --output VGA1 --mode "1024x768_60.00"
$ xrandr -s "1024x768_60.00"
2016년 9월 29일 목요일
우분투 시스템 설정에 있는 내장 백업 프로그램(Deja Dup)을 이용한 백업 설정
필요한 중요한 폴더를 백업하기 위해 새로운 하드를 구매해서 백업 설정을 하였다.
1. 새로운 하드 마운트
sudo nano /etc/fstab 자신의 새로운 하드 항상 마운트 되도록 추가
UUID=3c15d7d0-d190-41a4-a688-a4b69a2079f4 /mnt ext4 defaults 0 0
* 이때 UUID는 아래 명령으로 식별
ls -l /dev/disk/by-uuid/
2. 백업 폴더생성 및 권한 설정
sudo mkdir /mnt/backups
sudo chown -R stat:stat /mnt/backups
*권한설정을 안하면 백업파일 저장이 안됨
3. 우분투 오른쪽 상단 설정부분의 시스템설정 -> 백업으로 들어가서 deja dup을 설정
저장폴더, 무시할폴더, 저장공간, 예약 설정 등을 GUI를 이용하여 설정
* 팁, 용량이 작은 폴더를 설정해서 개요에서 확인차 지금백업, 복구로 실행시켜 본다
1. 새로운 하드 마운트
sudo nano /etc/fstab 자신의 새로운 하드 항상 마운트 되도록 추가
UUID=3c15d7d0-d190-41a4-a688-a4b69a2079f4 /mnt ext4 defaults 0 0
* 이때 UUID는 아래 명령으로 식별
ls -l /dev/disk/by-uuid/
2. 백업 폴더생성 및 권한 설정
sudo mkdir /mnt/backups
sudo chown -R stat:stat /mnt/backups
*권한설정을 안하면 백업파일 저장이 안됨
3. 우분투 오른쪽 상단 설정부분의 시스템설정 -> 백업으로 들어가서 deja dup을 설정
저장폴더, 무시할폴더, 저장공간, 예약 설정 등을 GUI를 이용하여 설정
* 팁, 용량이 작은 폴더를 설정해서 개요에서 확인차 지금백업, 복구로 실행시켜 본다
2016년 9월 11일 일요일
PLEX Media 서버 설치
1. 다운로드 업데이트 설정
wget -O - http://shell.ninthgate.se/packages/shell.ninthgate.se.gpg.key | sudo apt-key add -
echo "deb http://www.deb-multimedia.org wheezy main non-free"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d/deb-multimedia.list
echo "deb http://shell.ninthgate.se/packages/debian wheezy main"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d/plex.list
2. 업데이트 및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dist-upgrade
wget -O - http://shell.ninthgate.se/packages/shell.ninthgate.se.gpg.key | sudo apt-key add -
echo "deb http://www.deb-multimedia.org wheezy main non-free"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d/deb-multimedia.list
echo "deb http://shell.ninthgate.se/packages/debian wheezy main"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d/plex.list
2. 업데이트 및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dist-upgrade
sudo apt-get install deb-multimedia-keyring -y --force-yes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plexmediaserver -y
3. 접속
http://자신의 서버ip 주소:32400/web
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이메일 주소 등 설정하고 로그린하면 됨
이후 자신의 서버 폴더를 찾아 설정해주면됨
2016년 8월 28일 일요일
Linux 리눅스 환경에서 우분투 설치용 USB 만들기
Linux환경에서 우분투 설치용 USB만드는 방법
1. usb 메모리 파일시스템 위치 확인
$ df
2.IOS 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 설치용 usb 만들기(마지막 X는 파일시스템 위치)
$ sudo dd if=./ubuntu-14.04.5-desktop-amd64.iso of=/dev/sdX
3. usb 꺼내기
$sudo eject /dev/sdX
설치하고자하는 PC에 설치
1. usb 메모리 파일시스템 위치 확인
$ df
2.IOS 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 설치용 usb 만들기(마지막 X는 파일시스템 위치)
$ sudo dd if=./ubuntu-14.04.5-desktop-amd64.iso of=/dev/sdX
3. usb 꺼내기
$sudo eject /dev/sdX
설치하고자하는 PC에 설치
2016년 8월 23일 화요일
우분투 16.04 서버에서 웹서버 APM 구축
기존에 14.04로 웹서버를 잘 운용했는데 서버를 16.04로 업그레이드하니까 아래와 같이 확인이 필요하네요..
1. apache2 설치
sudo apt install apache2
2. mysql 설치
sudo apt install mysql-server mysql-client
1. apache2 설치
sudo apt install apache2
2. mysql 설치
sudo apt install mysql-server mysql-client
3. PHP 7설치
sudo apt install php libapache2-mod-php php-xml php-gd php-mysql
4.apache와 my sql 재시작
sudo /etc/init.d/apache2 restart
sudo /etc/lnit.d/mysql restart
5. phpmyadmin설치
sudo apt-get install phpmyadmin
2016년 8월 18일 목요일
우분투 서버 Ubuntu version 14.04 설치 후 초기 설정 내용
1. 사용자 계정설정
sudo passwd 설정
root unix 암호 등 설정
관리자 계정 추가 sudo adduser admin
추가 확인 ls /home
sudo usermod -a -G sudo admin *sudo 권한 부여
2. 네트워크 고정 IP로 설정 : 별도 포스팅 참조
sudo apt-get remove -y --purge network-manager
sudo nano /etc/network/interfaces
여기서 자동 ip부여방식 dhcp를 고정 ip부여방식 static으로 설정변경
sudo ifdown eth0
sudo ifup eth0
이렇게 네트워크 다시 시작하면 적용됨
3. ssh 서버 설치 및 설정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설정파일 /etc/ssh/sshd_config 로 접근, 필요한 사항 수정/저장
sudo service ssh restart
4. 방화벽 활성화
sudo ufw enable
sudo ufw allow 22
sudo ufw status 로 확인
참고 : ssh 접속시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로 나올때
ssh-keygen -f "/home/bjyoo/.ssh/known_hosts" -R 192.168.0.xxx
와 같이 호스트 키 제거하고 다시 시도하면 됨
5. 공개키 인증사용 설정 : 별도 key pairing 포스팅 참조
ssh-keygen **개인키 암호입력
ssh-copy-id admin@192.168.0.xxx
보안을 위해 패스워드방식 제거시 설정파일에서 PasswordAuthentication을 no로 수정
서비스 재시작 후 개인키 암호를 입력하여 사용
6. 구글계정 동기화, Dropbox 다운 및 설치 동기화
7. VNC로 desktop sharing 데스트탑 공유하기 설정
터미널에서 vino-preferences 를 실행시켜서 공유부분 2개 체크, 보안의 암호입력 부분 을 체크
이상태에서 vnc viewer로 5900번으로 접속하면 데스크탑 공유가능
** 재부팅시는 데스크탑으로 로그인하기전에는 vino가 작동하지 않기때문에
서버데스크탑을 열지않고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자동로그인 설정이 필요
**서버 자동로그인은 시스템설정-사용자계정-우측상단 자물쇠풀고-자동로그인 켬으로 설정
**vncpasswd 반드시 설정 - 클라이언트 pc도 우분투인경우 '원격데스트톱 보기' 어플 이용
8. 파일공유를 위한 NFS 및 Samba 서버설치
sudo apt-get install nfs-kernel-server * 클라이언트는 nfs-common
sudo mkdir -p /srv/nfs/public
sudo chown nobody:nogroup /srv/nfs/public/
sudo chmod 755 /srv/nfs/public/
ls -l /srv/nfs/
설정파일은 /etc/exports
sudo exportfs -ra * 설정적용, 정보확인은 -v
sudo service nfs-kernel-server restart
sudo passwd 설정
root unix 암호 등 설정
관리자 계정 추가 sudo adduser admin
추가 확인 ls /home
sudo usermod -a -G sudo admin *sudo 권한 부여
2. 네트워크 고정 IP로 설정 : 별도 포스팅 참조
sudo apt-get remove -y --purge network-manager
sudo nano /etc/network/interfaces
여기서 자동 ip부여방식 dhcp를 고정 ip부여방식 static으로 설정변경
sudo ifdown eth0
sudo ifup eth0
이렇게 네트워크 다시 시작하면 적용됨
3. ssh 서버 설치 및 설정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설정파일 /etc/ssh/sshd_config 로 접근, 필요한 사항 수정/저장
sudo service ssh restart
4. 방화벽 활성화
sudo ufw enable
sudo ufw allow 22
sudo ufw status 로 확인
참고 : ssh 접속시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로 나올때
ssh-keygen -f "/home/bjyoo/.ssh/known_hosts" -R 192.168.0.xxx
와 같이 호스트 키 제거하고 다시 시도하면 됨
5. 공개키 인증사용 설정 : 별도 key pairing 포스팅 참조
ssh-keygen **개인키 암호입력
ssh-copy-id admin@192.168.0.xxx
보안을 위해 패스워드방식 제거시 설정파일에서 PasswordAuthentication을 no로 수정
서비스 재시작 후 개인키 암호를 입력하여 사용
6. 구글계정 동기화, Dropbox 다운 및 설치 동기화
7. VNC로 desktop sharing 데스트탑 공유하기 설정
터미널에서 vino-preferences 를 실행시켜서 공유부분 2개 체크, 보안의 암호입력 부분 을 체크
이상태에서 vnc viewer로 5900번으로 접속하면 데스크탑 공유가능
** 재부팅시는 데스크탑으로 로그인하기전에는 vino가 작동하지 않기때문에
서버데스크탑을 열지않고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자동로그인 설정이 필요
**서버 자동로그인은 시스템설정-사용자계정-우측상단 자물쇠풀고-자동로그인 켬으로 설정
**vncpasswd 반드시 설정 - 클라이언트 pc도 우분투인경우 '원격데스트톱 보기' 어플 이용
sudo apt-get install nfs-kernel-server * 클라이언트는 nfs-common
sudo mkdir -p /srv/nfs/public
sudo chown nobody:nogroup /srv/nfs/public/
sudo chmod 755 /srv/nfs/public/
ls -l /srv/nfs/
설정파일은 /etc/exports
sudo exportfs -ra * 설정적용, 정보확인은 -v
sudo service nfs-kernel-server restart
sudo apt-get install samba
피드 구독하기:
글 (Atom)